이제 국내에서도 와이파이 폰이 대중화 되기 시작하네요~ 무선랜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휴대폰들이 다음달부터 쏟아져 나온다. 국내에선 스마트폰의 상징으로만 여겨졌던 와이파이 기능이 유무선통합서비스(FMC) 도입으로 일반 휴대폰에 탑재되기 때문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이통 3사와 협의를 통해 와이파이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을 대거 출시할 예정이다. 이통사들이 FMC 단말기를 싼 값에 보급하기 위해 일반 휴대폰에 와이파이 기능 탑재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이 아니라도 집이나 커피숍 등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에서는 무료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KT가 KT테크를 통해 휴대폰에 와이파이 기능을 장착한 ‘에버 F-110’을 다음달 출시한다. SK텔레콤과 LG텔레콤 역시 일반 휴대폰에 와이파이.. 더보기 클라우드 컴퓨팅의 양면성 얼마전 KGC 2009(한국 온라인 게임 세미나)에서 '클라우드 컴퓨팅과 게임 서비스'라는 세션 제목을 보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개념이 더이상 IT산업 하는 사람들에게서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전체가 관심을 가져야 되는 영역으로 흡수되고 있다는 점을 느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개념은 가트너에서 매년 발표하는 주목할 만한 IT 신기술이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우선순위가 10위에서 하위권에 머물고 있었다면 작년말부터 올해에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다양한 세미나, 리포트, 활용사례가 점차 확산되고 있어서 웹 2.0 이후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분명 기존의 IDC .. 더보기 미디어법 통과이후 산업지형 변화 (2) 그간 지상파TV에서 1박 2일, 무한도전 등 초대형 드라마등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소위 황금시간대 광고 판매수익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기독교 방송 등 종교방송에도 광고가 끊이지 않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은 KOBACO(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소위 광고약발이 약한 미디어에도 메이저 드라마에서 나오는 광고물량을 배분해주었기에 지금껏 광고가 끊이지 않게 된 것이다. 미디어법 통과와 헌법재판소에 계류중인 KOBACO 헌법 불합치로 인해서 복수의 미디어랩이 탄생하게 되면 더 이상 이러한 모습을 기대할 수는 없을런지도 모른다. 미디어 구조변화 = 광고시장 독점구조 종식 미디어법이 정파성에 기반한 정치 논리에 의해 움직였지만 지나쳐선 안될 부분이 바로 ‘산업적 해석’이다. 미디어법을 추진하게 된 것도 사실은 미디..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