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법 통과이후 예측되는 산업지형 변화 (1) 미디어법의 본질적인 취지는 방송과 통신, 방송과 신문의 경계를 허물어 보다 경쟁력을 갖춘 국내 미디어산업을 키워보자는 것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매우 뒤늦은 시도이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미디어법이 미운오리새끼가 되어서인지 법통과를 위한 논란과정에만 부각되었지 정작 미디어법이 통과가 가져올 미디어의 산업적 측면에 대해서는 차분하게 조망해 볼 필요가 있다.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간의 무한경쟁을 촉진한 해외사례를 보면 막대한 자본력과 마케팅 경험이 풍부한 통신사업자가 대부분 방송사업자를 M&A를 통해서 영역을 확장한 사실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국내의 경우 KBS, MBC, SBS 등 지상파 사업자와 KT ,SKT, LGT 등 통신사업자,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신문사업자 3파전을 향후 예의 주시해서 봐야.. 더보기
Cloud Computing이 미디어산업에 미치는 영향 IT 분야의 Hot Issue 부각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IT산업을 넘어서 전제산업 속에 빠르게 확산되면서 미디어콘텐츠 업계에서도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개인 컴퓨터의 서버에 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서 정보접근이 이뤄지는 방식으로 미디어 사용자는 단말기형태, 미디어화일 포맷에 관계없이 모바일 등 다양한 단말기로 원격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을 말한다. 이용자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넷북 등 통신 인프라만 갖추어지면 언제든지 필요할 때에 대형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이 갖추어지면.. 더보기
디지털 컨버전스를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Digital Convergence Drivers (컨버전스 활성화 요인) 디지털 컨버전스를 촉진하는 요인이라면 대부분 기술(Technology)를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Apple iTunes와 iPod를 결합한 융합서비스를 보면서 이미 나와있는 MP3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음반 다운로드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결합했기에 성공한 케이스를 보면 반드시 기술만이 컨버전스를 촉진하는 요인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디지털 컨버전스는 크게 기술, 고객, 규제, 기업 4가지 측면이 서로 상호작용함에 따라서 발생하고 이로인해서 산업 및 기업경영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유발시키고 있다는 대해 대부분 의견을 공감하고 있다. ■ 기술적인 요인 4가지 요인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은 .. 더보기